카테고리 없음

달 종류 이름 모양 변화 알아보기

노강행성 2022. 10. 9. 13:06
반응형

달 종류 이름 모양 변화에 따른 5가지 확인해보자.

달 모양 변화는 한 달(약 30일)을 주기로 지구 주위를 돌면서 태양 빛을 반사하는 부분만 밝게 보이므로 지구에서 볼 때는 달의 모양이 변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 변하는 모양에 따른 종류와 달의 이름도 다르게 부르는데 달 모양이 주기적으로 변하는 것을 보고 만든 게 음력 달력입니다. 오늘은 달 모양 변화에 따른 종류 이름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달 종류 이름 모양 변화는 공전이다
2. 달 종류 이름 모양 변화중 첫번째 보름달
3. 달 종류 이름 모양 변화에서 두번째 초승달
4. 달 종류 이름 모양 변화중 세번째 상현달
5. 달 종류 이름 모양 변화 네번째 하현달
6. 달 종류 이름 모양 변화 다섯번째인 그믐달

 

1. 달 종류 이름 모양 변화는 공전이다.

달이 지구 주위를 한 달에 한 바퀴씩 도는 것을 공전이라고 하는데 지구도 태양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에 그러한 지구를 쫓아 제자리로 돌아오려면 지구가 공전하여 움직인 시간만큼 달이 더 공전해야 합니다. 약 2.2일의 차이가 납니다. 달의 모양뿐만 아니라 위치도 날마다 서쪽에서 동쪽으로 조금씩 옮겨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달 종류 이름 모양 변화 달의 공전
달의 공전으로 모양 변화가 이루어진다 (출처 : 픽사베이)

 

 

2. 달 종류 이름 모양 변화중 첫번째 보름달.

보름달은 음력 15일 밤에 뜨는 달을 말하는데 원형으로 꽉 찬 달의 모습으로 만월(滿月)또는 망월(望月)이라고도 하며 달이 태양과 지구의 반대편에 위치해 완전하게 빛나는 때가 보름달입니다. 즉 해-지구-달 순으로 일렬이 되어야 하는데 달이 타원 궤도로 돌기 때문에 정확히 일직선으로 일치하는 날을 찾기가 힘듭니다.

 

보름달 중에서 지구와 달의 거리가 평소보다 가까워지는 시기에 뜨는 보름달을 '슈퍼문'이라고 부르는데 평소 보름달보다 크기가 10% 이상 크고 30% 이상 밝습니다. 

 

 

 

달 종류 이름 모양 변화 보름달 슈퍼문
보름달이 가장 크게 보이는 슈퍼문 (출처 : 픽사베이)

 

 

해가 질 무렵에 떠서 해가 뜰 무렵에 지는 보름달은 음력 1월 15일과 8월 15일을 정월 대보름과 추석으로 둥근 보름달을 보면서 소원을 빌거나 흥겹게 달맞이를 하는 풍속이 있는 명절의 하나로 지내고 있습니다.


3. 달 종류 이름 모양 변화에서 두번째 초승달.

달 모양 변화에 따른 종류 이름으로 초승달은 음력 2~3일경에 뜨는 눈썹 모양의 달로 아침에 떠서 저녁이 되면 서쪽 하늘에서 보이다가 지게 됩니다.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 일직선상에 놓이는 그믐달을 지나 보름달로 채워져 가는 시기의 초반에 나타나는 모습이 달의 초승달입니다.

 

 

달 종류 이름 모양 변화 초승달
달 종류 모양 이름 초승달모습 (출처 : 픽사베이)

 

 

 

초승달은 처음 생겨나기 시작하는 달이라는 뜻의 '초생(初生) 달’이 어원으로 여기에서 '생'이 '승'으로 음운변화를 일으켜서 생긴 말입니다. 음력으로 그 달의 첫머리 며칠 동안을 '초승'이라고 이르며 그때 뜨는 달을 초승달이라고 합니다. 달 모양 변화 종류 순서는 초승달, 상현달, 보름달, 하현달, 그믐달의 순서로 변화가 반복됩니다.

 

그리스의 기하학자인 히포크라테스는 원의 면적을 구하려고 시도하던 중에 초승달 도형 넓이를 삼각형의 넓이로 변환할 수 있다는 것을 구했다고 합니다.

 

 

반응형

 


4. 달 종류 이름 모양 변화중 세번째 상현달.

상현달은 음력 8~9일 경에 뜨는 오른쪽이 둥근 반원 모양의 달로 반달이라고 합니다. 낮 12시경에 떠서 태양이 질 때쯤 남쪽 하늘에 가장 높이 떠 있습니다. 반쪽만 보이는 것은 태양과 달이 지구와 이루는 각도가 90°이기 때문입니다.

 

 

 

달 종류 이름 모양 변화 상현달 모습
달 이름 모양 오른쪽 반달인 상현달 (출처 : 픽사베이)

 

 

 

 

같은 상현달이라도 북반구에서는 오른쪽 반이 보이고, 남반구에서는 왼쪽 반이 보이는데 남반구에서는 북반구와 달리 달이 북쪽 하늘을 지나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달의 같은 곳이 빛이 나지만 지역에 따라서는 반대로 보이게 됩니다. 상현달은 점점 서쪽으로 움직이는데 상현달에서 커지면 보름달이 됩니다.

 


5. 달 종류 이름 모양 변화 네번째 하현달.

음력 22~23일경에 뜨는 달 종류 이름 중 반원 모양의 달이 하현달인데 활 모양의 현을 엎어 놓은 것 같은 모양이며 상현달이 보이는 모습과 반대로 왼쪽이 둥급니다. 북반구에서는 왼쪽이 보이고 남반구에서는 오른쪽 반만 보이므로 상현달과 다르게 보입니다.

 

 

 

달 종류 이름 모양 변화 하현달 모습
달 이름 종류 왼쪽모양 반달인 하현달모습 (출처 : 픽사베이)

 

 

 

하현달은 자정쯤에 떠서 한낮에 지기 때문에 해가 뜬 이후로는 관측하기가 어렵습니다. 보름달에서 점점 작아지는 반달이며 이 하현달에서 점차 작아지면 그믐달로 변합니다.


6. 달 종류 이름 모양 변화 다섯번째인 그믐달.

그믐달이 보이는 날짜는 음력 27~28일 경이며 이때는 달의 모습이 차츰 보이지 않습니다. 달 모양에 따른 종류 이름 중에서 가장 관측이 어려운 그믐달은 새벽에 떠서 해가 뜨기 전까지 동쪽 하늘에서 관측이 이론적으로 가능하지만 새벽이 지나서 날이 밝아지면 태양빛 때문에 볼 수가 없어서 실제로 그믐달이 뜨고 지는 현상에 대한 관측이 매우 어렵습니다. 태양과 달, 지구가 일직선이 되어 달이 어두운 쪽을 보이게 되므로 보이지 않게 됩니다. 초승달과는 좌우가 반대이며 '그믐'이라는 말의 원래 뜻보다 기울어져 간다는 뜻의 비유적 표현으로 더 많이 쓰입니다. 

 

무심코 밤하늘을 바라보며 보이는 달의 모양에 따른 이름을 많이 들어보고 알고는 있었지만, 정확히 방향에 따른 이름까지는 알지 못했기에 이 글을 통하여 달 종류 이름을 확인해 보았습니다.

 

 

2022.10.06 - [분류 전체보기] - 빼빼로데이 유래 농업인의 날 가래떡데이

 

빼빼로데이 유래 농업인의 날 가래떡데이

빼빼로데이 유래 농업인의 날로 가래떡데이와 함께 하기 매년 11월 11일은 빼빼로데이로 주변 지인들에게 빼빼로 선물을 주고받는 날이지만, 잘 알려지지 않은 농업인의 날로써 가래떡을 선물로

s1.pichangsang.com

 

2022.10.02 - [분류 전체보기] - 인스타그램 사진올리기 오류 해결법

 

인스타그램 사진올리기 오류 해결법

인스타그램 사진올리기 오류 간단하게 해결하는 법 요즘 들어 인스타그램에 사진올리기를 하려는데 갤러리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이 안 보여서 게시물을 올리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s1.pichangsang.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