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과류 종류별 보관법
견과류 보관법 종류별 제대로 알기
견과류는 영양이 풍부하고 노화 예방에도 도움이 되지만 자칫 잘못 보관하여 먹다 보면 득보다는 실이 많을 수 있습니다. 견과류가 단순히 눅눅해지고 소위 쩐내가 난다는 사실은 어느 정도의 산패가 진행되고 있는 것인데 단순히 아깝다고 먹으면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으니 견과류의 종류별 특성과 보관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견과류 보관법 - 특징
견과류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 무기질 등 각종 영양소가 많이 들어있는데 특히 혈관 건강에 좋은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합니다. 이러한 불포화지방산은 뇌 기능 증진에도 도움이 되지만, 지방 함량이 많다 보니 오랫동안 상온(15~20도)에 보관하면 곰팡이가 피며 아플라톡신이라는 독소도 생성합니다.
가열해도 그대로 남아 있기에 보관법을 제대로 알고 드셔야 합니다. 견과류를 보관할 때에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밀폐된 봉지로 공기 접촉을 차단하고 작은 양으로 나눠서 냉동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개봉을 했다면 빠른 시일 내로 드시는 게 좋으며 유통기한이 오래된 견과류는 피하는 게 좋습니다.
2. 견과류 보관법 - 호두
호두에는 활성산소를 파괴하는 호르몬인 멜라토닌이 들어있고 활성산소를 무력화시키는 항산화물질인 셀레늄이 많습니다. 활성산소는 불안정한 산소 분자로 우리 몸속에서 일어나는 세포대사의 부산물로서 각종 질환을 유발합니다. 호두를 먹으면 포만감 때문에 밥을 덜 먹게 됩니다. 우유랑 함께 먹으면 부족한 단백질과 칼슘을 보충하므로 궁합이 맞습니다.
호두는 볶아서 먹기도 하고 날로 먹기도 하는데 간식이나 제빵, 샐러드, 소스등 각종 요리에 쓰임이 많습니다. 호두껍질을 까지 않은 것을 구입하는 게 좋으며 작고 구멍이 뚫린 것은 벌레가 먹은 것이므로 주의합니다. 불포화지방산이 매우 풍부하므로 칼로리도 생각보다 높습니다. 호두껍질을 까면 알맹이는 금방 산패되기 쉬우므로 껍질 채 밀폐용기에 담아 냉동 보관을 하면 오랫동안 먹을 수 있습니다. 가능하면 먹을 때마다 껍질을 깨서 먹도록 합니다.
3. 견과류 보관법 - 땅콩(피넛)
땅콩은 볶아서 먹는 것이 가장 대표적이며, 푹 삶아서 먹는 방식도 있습니다. 몸에 좋은 불포화지방산이지만 높은 열량을 가지고 있기에 먹을 때는 조절을 잘해야 합니다. 지방 외에도 상당량의 단백질과 비타민 E, 나이아신, 마그네슘들을 함유하며 특히 레시틴과 아미노산이 풍부하여 뇌세포 형성에도 좋습니다.
땅콩은 겉껍질을 까지 않은 상태로 봉지에 밀봉하여 서늘한 곳에 보관하되 가능한 한 빠르게 섭취를 합니다. 오래 보관하려면 밀폐용기에 담아서 냉동보관을 하며 속껍질을 벗긴 상태이면 산패가 빠르게 진행됩니다. 또한 볶은 땅콩을 오래 두면 독성이 강한 곰팡이가 생기므로 조금씩 꺼내서 볶아먹는 것이 좋습니다.
4. 견과류 보관법 - 아몬드
아몬드는 탄수화물 함량은 낮은 편이라 밀가루 대신에 저당식의 각종 레시피에 많이 사용합니다. 비타민E 함량이 높고 불포화 지방산 역시 많으며 철분과 칼슘도 풍부합니다. 항산화물질인 폴리페놀과 단백질, 마그네슘, 식이섬유까지 풍부하여 다이어트에도 도움이 되므로 하루 적정량을 매일 섭취하면 좋습니다.
견과류 중에서 칼로리가 호두보다는 낮지만 땅콩보다는 높습니다. 초콜릿과 궁합이 잘 맞으며 포장제품 구입 시에는 반드시 유통기한과 포장의 진공 상태를 확인합니다. 아몬드는 다른 음식의 냄새를 잘 흡수하기 때문에 꼭 밀폐용기에 넣어서 보관을 해야 합니다.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면 실온에서도 가능하지만 소량으로 나눠서 냉장 보관하면 1~2년까지 먹을 수 있고 더 오랫동안 보관하려면 냉동실에 보관하는 게 좋습니다.
5. 견과류 보관법 - 피칸
피칸은 호두의 맛과 비슷하지만 더 달고 향이 좋습니다. 불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뇌신경을 안정시키는 칼슘과 비타민 B군의 함량이 높습니다. 영양적으로 우수한 견과류이며 끼니마다 피칸을 10~15알 정도 먹으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도 낮아지며 면역력 향상에도 도움이 됩니다.
보관할 때는 반드시 밀봉된 비닐봉지에 넣어서 냉장이나 냉동 보관을 하는 게 좋습니다. 냉장보관은 6개월 정도, 냉동 보관은 2년 정도로 먹을 수 있습니다. 단단한 껍질을 깐 후 속 내용물을 먹는데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어 물기 제거 후에 먹습니다.
7. 견과류 보관법 - 잣
잣은 불로장생의 식품 혹은 신선의 식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풍부한 영양과 고소한 맛이 일품입니다. 호두보다도 철분의 함량이 높고 자양강장제로 알려져 있지만 열량이 높아서 비만인 경우에는 주의해서 먹습니다. 피부 탄력 향상과 혈압 강하에 도움이 되며 우리나라의 특산품으로 유명합니다.
잣은 죽으로 많이 먹으며 불포화지방산이 많아서 산패가 빠르고 냄새를 쉽게 흡수하므로 저장할 때는 냉동 보관이 좋습니다. 껍질째로 보관하는 것이 좋으며 실온에 보관 시에는 어둡고 서늘한 곳에 보관을 합니다.
8. 견과류 보관법 - 피스타치오
피스타치오는 녹색이 진하고 선명할수록 좋은데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기능으로 심혈관을 건강하게 유지해 줍니다. 칼륨과 철, 불포화지방산이 들어 있으며 특히 감마 토코페롤 성분은 활성산소로부터 몸속 세포를 보호하고 탄수화물 함량이 낮으며 식이섬유소 질도 풍부하게 함유가 되어 있어 장내의 노폐물과 독소들을 배출하는 작용을 합니다.
피스타치오도 보관할 시에는 실온보다는 냉동 보관이 좋으며 가격이 다소 비싸더라도 대량 구매보다는 소량으로 구입하여 드시는게 좋습니다. 생 피스타치오라면 공기가 통하지 않는 밀봉된 통에 넣어둔 후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 보관을 합니다. 습기가 있는 곳은 피하는게 좋으며 껍질을 벗겨낸 피스타치오는 통에 담아서 냉동 보관을 합니다.
2022.09.26 - [분류 전체보기] - 무화과 보관방법 제대로 알고 먹기
무화과 보관방법 제대로 알고 먹기
무화과 보관방법 알고 더 오랫동안 먹어보자 무화과가 좋은 과일인 것은 알기에 제철에 한 박스씩 사서 그냥 상온에 보관하고 먹을 때가 있습니다. 그런데 며칠 지나지 않았는데도 먹으려고 박
s1.pichangsang.com
2022.09.23 - [분류 전체보기] - 2022 동지 동짓날 팥죽먹는 유래
2022 동지 동짓날 팥죽먹는 유래
2022 동지 동짓날 팥죽먹는 유래 알고 먹읍시다 2022년의 동짓날은 12월 22일로 일 년 중에 낮의 길이가 가장 짧고 밤의 길이가 가장 긴 날입니다. 그러나 동짓날을 기준으로 낮이 다시 길어지기 시
s1.pichangsang.com